ErrorLog: 에러 기록 파일의 위치. <VirtualHost> 컨테이너 안에서 ErrorLog 설정을 하지 않으면 그 가상 호스트에 관련된 에러 메시지도 역시 이 곳에 기록된다. <VirtualHost> 컨테이너 안에서 에러 로그 파일을 정의하면 관련된 에러 메시지는 그 파일로 저장된다. ErrorLog logs/error_log ==> logs 앞에 /가 없다는건 ServerRoot 경로가 생략됐다는 것. 실제 경로는 /usr/local/apache/logs/error_log
Server에서 발생하는 error를 기록하는 log file을 지정한다. 상대 경로로 지정을 하면 위의 Server Root의 값이 앞에 자동으로 부여 된다. 만약 ErrorLog를 남기고 싶지 않다면 /dev/null로 지정을 해 주면 된다. 예: ErrorLog /dev/null LogLevel: error_log에 기록될 메시지 분량을 제어한다. debug, info, notice, warn, error, crit, alert, emerg 등의 값이 가능하다. alert, emerg. LogLevel warn 다음 지시자는 CustomLog 지시자(아래 참고)에서 사용할 몇 가지 형식에 대한 별명을 정의한다. LogFormat "%h %l %u %t \"%r\" %>s %b \"%{Referer}i\" \"%{User-Agent}i\"" combined LogFormat "%h %l %u %t \"%r\" %>s %b" common LogFormat "%{Referer}i -> %U" referer LogFormat "%{User-agent}i" agent 접근 로그 파일의 위치와 형식(공통 로그파일 형식) <VirtualHost> 컨테이너 안에서 접근 로그파일 설정을 하지 않으면 모든 기록이 이 파일에 남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각 <VirtualHost> 마다 접근 로그파일을 정의하면 모든 처리가 바로 그 파일에 기록된다. CustomLog logs/access_log common 만약 CustomLog를 남기고 싶지 않다면 ErrorLog와는 달리 Log에 대한 설정을 모두 주석 처리를 하면 된다. ErrorLog와 같이 /dev/null로 설정을 해도 상관은 없다. 에이전트 로그파일과 참조자(referer) 로그파일을 갖기 위해서는 다음 지시 내용의 주석 처리를 해제하라. 여기서 에이전트란 여러분의 사이트에 방문하는 브라우져를 말한다. 에이전트 로그를 남기면 여러분의 사이트에 방문하는 브라우져의 종류에 대한 통계를 낼 수 있다. 참조자란 주로 배너 광고주에게 중요한 것으로서 여러분의 사이트 바로 직전에 방문한 사이트를 말한다. CustomLog logs/referer_log referer CustomLog logs/agent_log agent 하나의 로그파일에 접근, 에이전트, 참조자 정보를 다 저장하기 위해서는 (통합 로그파일 형식) 다음 지시 내용을 사용하라. 몇 달만 운영해도 접속이 많은 사이트에서는 combined 로그 파일이 어마어마하게 커져서 루트 파일 시스템을 꽉 채워 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CustomLog logs/access_log combined 이 설정은 위의 CustomLog logs/referer_log referer, CustomLog logs/agent_log agent 를 합쳐 놓은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 행의 주석을 풀어 주기 위해서는 위의 두행이 주석처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
위의 로그 형식은 아래 주소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