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spi-tcp 설치하기 ===================================================================== QMAIL-LAB 1> ucspi-tcp 설치하기 최신버전 : http://cr.yp.to/ucspi-tcp/install.html 소스에 있는 README 파일을 참고한다. - CentOS 에서는 gcc 버전 4 이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스를 그대로 설치면 - 에러가 나므로 헤더파일을 수정해야 된다. - 큐메일은 혼자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데몬과 연계해서 실행을 해야만 한다. - 큐메일의 실행은 xinetd와 tcpserver로 할 수 있으나 보안과 속도면에서 큐메일과 잘 맞는 - tcpserver로 구축을 하도록 한다. - ucspi-tcp는 UNIX Client-Ser.. 더보기 네임서버 세팅하기 ======================================================================== DNS-LAB3> 아래 도메인명에 해당하는 간단한 네임서버 세팅하기!! 리눅스 IP : 192.168.56.150 도메인명 : myserver.com 호스트명 : www.myserver.com -- 작업 순서 -- 1. 설정파일에 도메인 영역 추가 2. forward zone 파일 생성 ==> 도메인을 ip주소로 매칭 시켜준다. 3. 심볼릭 링크생성 4. 네임서버 설정 확인 5. 네임서버 재시작 6. 확인 -- 작업 순서 -- - 전체설정 - 호스트 방화벽에서 DNS 53번 룰을 설정 # DNS-WEB# iptables -I INPUT -p udp --dport 53 -j A.. 더보기 ErrorLog ErrorLog: 에러 기록 파일의 위치. 컨테이너 안에서 ErrorLog 설정을 하지 않으면 그 가상 호스트에 관련된 에러 메시지도 역시 이 곳에 기록된다. 컨테이너 안에서 에러 로그 파일을 정의하면 관련된 에러 메시지는 그 파일로 저장된다. ErrorLog logs/error_log ==> logs 앞에 /가 없다는건 ServerRoot 경로가 생략됐다는 것. 실제 경로는 /usr/local/apache/logs/error_log Server에서 발생하는 error를 기록하는 log file을 지정한다. 상대 경로로 지정을 하면 위의 Server Root의 값이 앞에 자동으로 부여 된다. 만약 ErrorLog를 남기고 싶지 않다면 /dev/null로 지정을 해 주면 된다. 예: ErrorLog /de.. 더보기 crontab: command not found crontab 명령어 실행시 crontab: command not found 메시지가 나온다면관련된 패키지를 확인해본다. vixie-cron 패키지가 없다면 설치를 해준 뒤실행해보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더보기 php, html 확장자 파일 업로드 제한하기 ==================================================================== Option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All : : -- pdsok.php -- -- webshell.php -- webshell.php 파일이 업로드가 안된다. .htaccess -- .htaccess --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txt .jpg -- .htaccess -- .htaccess 파일이 업로드 된다. -- webshell.txt -- // txt파일로 업로드를 하지만 php코드가 실행된다. -- webshell.txt -- http://192.168.100.100/pds/webshell.. 더보기 인증 디렉토리 생성과 접근제어 설정 ==================================================================== LAB> 서버담당자 K씨가 아래 조건에 맞게 자신의 서버에 아파치 웹서버를 설정하려고 한다. 제한시간 동안 서버를 설정하시오. 제한 시간 : 20분 -- 조건 -- 1. 접속 URL - 아래 URL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 웹페이지의 내용은 "Welcome to labuser Dir" 로 한다. - http://IP Address/~labuser/ 2. 인증 디렉토리 생성 - mydata 라는 인증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증을 설정한다. - 이 인증 디렉토리는 자료실이므로 파일 리스트가 출력되게 설정한다. 인증 디렉토리 : http://IP Address/~labuser/my..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21 다음